1. 강아지 심장병의 주요 원인과 증상
● 심장병 원인
- 노화 : 나이가 들면서 심장 기능이 저하됩니다.
- 유전적 요인 : 특정 품종(말티즈,치와와,푸들, 시츄 등)은 심장병 위험이 높습니다
- 비만 : 과체중은 심장에 큰 부담을 주기때문에 적절한 체중 유지가 중요합니다.
- 심장사상충 감염 : 모이게 의해 전염되는 기생충이 심장을 손상시킵니다.
● 심장병 의심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?
초기에는 증상이 잘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 갈 수록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됩니다.
- 쉽게 피로해 하며 산책을 거부한다
- 온도에 이상이 없는데도 쉽게 숨이 차거나 헐떡이며 잠자면서 숨이 고르지 않다
- 식욕이 줄고 체중이 감소한다.
- 잇몸이 창백하거나 혓바닥이 푸르스름하다 ( 산소 공급 부족)
- 복수가 차는 경우에는 복부가 부어오른다.
2. 강아지 심장병 예방 및 관리 방법
● 정기적이 건강검진
심장병은 조기발견이 가장 중요합니다. 조기에 발견시 가벼운 약물이나 영양제로도 관리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.
최소 1년에 1~2회, 노견의 경우에는 6개월의 한번씩 건강검진을 추천드립니다.
청진을 통하여 심장소리의 잡음을 확인한 후 이상 소견시 X-Ray , 심장초음파, 혈악 측정을 통해 정기적인 심장관리를 체크합니다.
● 운동량 조절하기
심장병이 발병되었다면 무리한 운동보다는 가벼운 산책을 해주세요.
더위나 추위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너무 더운 날에는 산책을 피하고 추운 겨울에는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관리해 주세요.
● 건강한 식단 유지
염분이 많은 식품(특히 사람들이 먹는 음식)은 급여를 금지하며 저염식 식단을 추천합니다.
과체중의 강아지들은 심장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적절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이어트 사료를 추천합니다.
심장 건강에 좋은 영양제를 급여하거나 사료를 통해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영양을 공급합니다.
● 스트레스 줄이기
심장병은 흥분이 되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 평소 활동량이 많다면 정적인 쉼을 통해 심박수가 오르지 않도록 해주세요.
큰 소음이나 갑작스러운 자극을 피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● 심장사상충 예방은 필수!
떠돌이 강아지들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심장사상충은 심장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. 평소 한달에 한번씩 심장사상충을 급여하며
특히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여름에는 더욱 조심하며 사계절 내내 잘 관리해 주는것이 중요합니다.
● 약물 치료 및 수술 고려
심장병의 경우 가벼운 단계부터 수술이 필요한 단계, 진행도에 따라 약물 또는 수술이 권장됩니다.
심장병의 단계가 심할 경우에는 이뇨제, 혈압강하제, 심장 보호제 등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.
판막 이상/ 기형의 경우에는 반려견의 나이를 고려해 심장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15살에 무지개 다리를 건넌 우리 강아지의 경우 5년 가까이 심장병약을 먹으며 잘 관리하며 지냈답니다.
꾸준한 관리를 통해서 반려동물과의 행복한 삶을 함께해요~!
'반려동물 >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려동물과 함께 여행하는 방법! 여행 필수 체크리스트 (2) | 2025.02.05 |
---|---|
강아지와 고양이 함께 키우기! 동거 생활 성공 노하우 (0) | 2025.02.05 |
강아지 처음 키우는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가이드 (0) | 2025.02.04 |
노령견과 함께 살기 - 노령견 케어하기 (0) | 2025.02.03 |
나에게 먼 이야기 같았던 펫로스증후군 (1) | 2024.08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