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려동물/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법

광견병 증상과 주의사항! 반려동물을 위한 필수 정보

by 터치드포 2025. 2. 6.

1. 광견병이란? 🩺

광견병(Rabies)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**치명적인 전염병**으로, 감염된 동물의 타액(침)을 통해 **물림, 긁힘, 점막 접촉**으로 전염됩니다. 한 번 발병하면 **사망률이 거의 100%**에 이르는 위험한 질병입니다.

**광견병은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도 감염될 수 있으므로,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.**

2. 광견병 감염 경로 🦠

광견병 바이러스는 주로 **감염된 동물의 침이 피부 상처나 점막을 통해 전파**됩니다.

📌 주요 감염 경로

  • 광견병에 걸린 동물에게 물렸을 때 (가장 흔한 감염 경로)
  • 감염된 동물이 핥은 부위에 상처가 있을 때
  • 오염된 타액이 눈, 코, 입의 점막에 닿았을 때

📌 광견병을 전파할 수 있는 동물

  • 감염된 개, 고양이
  • 너구리, 여우, 박쥐, 오소리 등 야생동물
  • 드물게 소, 말, 염소, 돼지 등 가축

3. 강아지와 고양이의 광견병 증상 ⚠️

광견병에 걸린 동물은 신경계 이상을 보이며, 진행 속도가 빠릅니다.

📌 광견병 주요 증상

  • 초기 증상: 식욕 저하, 무기력, 예민한 반응
  • 행동 변화: 갑자기 공격적으로 변하거나, 주인을 알아보지 못함
  • 과민 반응: 빛, 소리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
  • 침 흘림: 입 주변에 거품이 생기고 침을 과다 분비
  • 연하 곤란: 물을 삼키지 못해 극심한 목마름을 호소
  • 마비 증상: 뒷다리 마비, 호흡 곤란이 진행되면서 결국 사망

이러한 증상이 보이면 즉시 동물병원에 연락하고,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.

4. 광견병 예방 방법 ✅

광견병은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**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.**

📌 필수 예방 수칙

  • 정기적인 예방접종: 모든 반려동물은 **1년마다 광견병 예방접종**을 받아야 합니다.
  • 야생동물과 접촉 금지: 너구리, 박쥐, 고양이 등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  • 목줄과 하네스 사용: 야외 활동 시 반려동물이 멀리 가지 않도록 통제하세요.
  • 물린 경우 즉시 병원 방문: 광견병 감염 위험이 있는 동물에게 물렸다면 즉시 병원에서 치료받으세요.

📌 광견병 예방접종 일정

연령 예방접종 횟수
생후 3개월 1차 접종
1년 후 2차 접종
매년 1회 정기 접종

광견병 예방접종은 **동물병원 또는 지자체에서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접종할 수 있습니다.**

5. 사람이 광견병에 걸렸을 때 대처법 🚨

광견병은 사람도 감염될 수 있으며, 치사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.

📌 광견병 감염 의심 시 대처 방법

  • **바로 상처를 깨끗한 물과 비누로 10~15분 이상 세척**
  • 즉시 **가까운 병원이나 보건소 방문**
  • 필요 시 **광견병 예방 백신 접종**

반려동물이 광견병에 걸렸거나 의심 증상이 보이면 **질병관리청(1339) 또는 동물보호센터에 신고**하세요.

광견병은 예방접종만으로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질병입니다. 정기적인 예방접종과 올바른 관리로 반려동물과 함께 안전한 생활을 유지하세요! 🐾💙